본문 바로가기
중등 임용시험 준비

중등 임용 체육, 서양 체육사

by 름푸파파 2023. 1. 13.

20세기 초 진보주의가 유행하며 신 체육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토마스 우드는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지적, 사회적, 신체적, 도덕적 발달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가치 있다고 이야기했다.

20세기 중반 이후 신체를 통한 교육으로서의 체육 철학을 기반으로 한 체육교사 프로그램 문제가 대두되며 체육 학문화 운동이 발생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체육학의 하위 학문들이 발전했다. 이로 인해 서로를 연결시킬 철학적 틀이 필요했고 그때 나타난 것이 휴먼 무브먼트 철학이다. 기존 체육 교육이 종목 중심이었다면 움직임 교육은 주제 중심으로 탐색과 발견을 바탕으로 하는 비경쟁적인 성취를 중시하는 교육이었다.

유럽 대륙의 체육과 스포츠 문화

독일의 체육은 게르만의 전통적인 기사 기풍과 자연주의, 범애주의 교육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독일의 체조는 체조운동을 통해 국토를 통일하고 민족성을 회복하며 국민을 무장해 해방을 꾀했던 얀을 통해 발달했다. 그렇기에 강한 민족주의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배지는 독일 체조 운동이 중세 기사의 전통과 고대 전사의 기풍을 계승하려고 한 국가주의, 민족주의적 사회운동이었음을 명확히 나타내는 증표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체육 활동으로는 19세기말 야외 캠프활동인 반더포겔 운동이 있는데 국토 순례를 통해 체력을 단련하고 독립 정신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초기 유스호스텔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독일의 스포츠는 1870년 대 영국 퍼블릭 스쿨 방문 이후 확산되는 움직임을 보였는데 체조 운동가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러나 칼 딤의 주도하에 스포츠 클럽의 숫자가 증가하게 되면서 독일 스포츠 국이 설립되게 되며 스포츠는 학교 현장과 사회로 급속히 확산됐다.

독일의 체육은 강력한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독일의 독립과 통일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학교체육, 사회체육의 발달로 이루어졌고, 캠핑과 여행 등 청소년 운동의 확산에 공헌하며 야외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부각했다. 이러한 전 과정을 통해 체육의 체계를 정립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스웨덴의 체육은 국가주의적 정서를 기반으로 발달했으며 링은 군 내부에도 체육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링은 스웨덴 체조의 창안자로 근대 체육의 기초가 될 전문적 서적을 저술하고 스웨덴 체조를 보급하며 체육을 발달시킨 인물이다. 이렇게 국가주의적 성격을 띠고 발달했지만 심신의 조화적 발달을 목적으로 해 체조를 교육체조, 병식체조, 의료체조, 미적체조 총 4가지로 구분했다. 스웨덴의 체조는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움직임 체계를 창안해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했다. 학교체육은 독일과 유사하게 야외활동을 중심으로 강화된 모습을 보였다.

스웨덴의 스포츠는 국가의 기후와 자연환경에 맞는 전통 스포츠를 중심으로 발달했는데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조정과 수영, 오리엔티어링이 있다. 스웨덴은 체력장 제도를 시행하며 국민 스포츠 배지제를 도입해 스포츠를 활성화했다. 

 

덴마크 역시 국가주의를 바탕으로 체육이 발달했지만 독자적인 체육 체계를 개발한 것이 아닌 독일과 스웨덴의 체조, 영국의 스포츠 도입을 통해 발달하게 됐으며, 20세기 초 민중학교를 중심으로 한 전인교육으로서의 체육이 발달하게 됐다. 덴마크의 체조운동은 독일 체조의 도입으로 확산됐고 나흐테갈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나흐테갈은 구츠무츠의 체조를 재조직화하며 학교에 체조를 도입했다. 독일식 체조와 스웨덴식 체조 간의 체조 논쟁이 있었으나 스웨덴 체조의 문제점을 개선한 닐스북의 덴마크 생활체조가 탄생하게 됐다.

덴마크의 스포츠는 각종 청소년 단체의 활동과 체력장 제도를 통해 발달되었으며 덴마크 역시 스포츠 배지 제도를 도입해 스포츠를 활성화했다. 또한 축구 복권을 발행해 각정 스포츠 단체를 지원하고 육성했다. 덴마크의 대표 스포츠로는 닐센이 고안한 7인제 핸드볼이 있다. 

 

프랑스의 체육은 국가주의적 원칙에 입각한 중앙집권적 교육제도를 통해 발달했다. 19세기 후반 쿠베르탱과 데몰랭은 청소년 활력과 강력한 국가를 위한 체육과 스포츠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망명한 아모로소 대령을 통해 소개된 프랑스의 체조는 군대와 학교 중심으로 확산됐으며, 아모로소 대령은 야외 체조장을 갖춘 육군 및 시민체조학교를 설립했다.

프랑스의 스포츠는 앞서 말한 쿠베르탱과 생끌레르의 주도로 발전했다 이들은 학교교육 속에 스포츠 도입을 주장하였고 이를 사회로도 확산시키고자 했다. 프랑스 스포츠는 학생과 군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체력장 제도인 스포츠 배지 테스트제도를 통해 활성화 됐고 사이클은 가장 먼저 상업주의적 성격을 띠고 발달했다.

프랑스의 체육 사상에 가장 중요한 인물은 쿠베르탱은 프랑스의 교육개혁과, 체육진흥, 올림픽 제창하며 자유와 스포츠라는 스포츠 교육사상의 원형을 구축한 인물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러시아의 체육은 국방력 강화와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단을 발달하게 됐다.

러시아의 스포츠는 체코의 소콜 운동의 영향을 받아 도입되었다. 국민의 체력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체력장의 일종인 GTO가 있었는데 GTO는 조기 스포츠 사회화를 통한 우수선수 조기발굴, 조기 군사교육 실시, 신체 적응력 강화를 통한 노동생산선 향상 등의 목적이 있었고 국민들의 정열과 에너지를 건전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통해 발산시키고자 했다.

러시아는 전연방 스포츠 등급제라는 제도가 있었는데 이는 엘리트 스포츠인 양성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