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정보

조류 인플루엔자(H5N1) 대유행 우려 고조 , 사망률 최대 50%

by 름푸파파 2024. 6. 17.

미국 CDC 전 국장이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의 대유행이 시간문제라고 경고했습니다. 최근 인체 감염 사례 증가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치사율은 최대 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류 인플루엔자(H5N1) 대유행 우려 고조 , 사망률 최대 50%

CDC 전 국장 "대유행은 시간문제"

로버트 레드필드 전 CDC 국장은 14일(현지시각) 미국 뉴스네이션과의 인터뷰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대유행이 "일어날지 여부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언제 일어나느냐의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해질 경우 대유행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인체 감염 사망률 최대 50%

레드필드 전 국장은 조류 인플루엔자 인체 감염 사망률이 코로나19보다 훨씬 높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조류 인플루엔자 사망률은 25%에서 50% 사이로 추정됩니다. WHO 자료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23년 4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889건의 인체 감염 사례 중 463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52%에 달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의 사망률(0.6%)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WHO "포유류 확산으로 위험 증가"

WHO는 조류 인플루엔자가 포유류에게 확산되면서 사람에 대한 위험이 높아졌다고 경고했습니다. 만약 바이러스가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형태로 진화한다면 세계적인 대유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멕시코, 호주, 인도 등 여러 나라에서 추가 인체 감염 사례가 보고되면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변이 가능성과 치명적인 위험성을 고려할 때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국의 방역 지침을 잘 따르는 한편,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찾는 등 개인 위생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관련정보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

> 가축질병정보 > 조류인플루엔자 > 조류인플루엔자란 조류인플루엔자란 조류인플루엔자는 전파가 빠르고 병원성이 다양하며, 닭, 칠면조, 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에 감염됨. 주로 닭과

home.kahis.go.kr

 

 

Google 학술 검색

검색결과 약 18,600개 (0.08초)

scholar.google.co.kr


 

 

2024년 장마 기간은 언제부터? 올해 장마철 대비 가이드

2024년 여름을 앞두고 장마 예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여행 계획을 세우는 분들은 장마 시기를 피해 일정을 잡는 것이 중요한데요.  올해 장마는 어떤 모습을 보일지, 그리고 현명하

gumption050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