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정보

러브버그(사랑벌레) 크기, 퇴치법, 발생 원인 알아보기

by 름푸파파 2024. 6. 17.

최근 여름철마다 도심 곳곳에서 출몰하는 '러브버그'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러브버그의 특징과 크기, 효과적인 퇴치법, 그리고 이들의 대량 발생 원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러브버그란 무엇인가?

  • 러브버그의 정식 명칭은 '붉은 등우단털파리'로, 독성이 없고 인간을 물지 않으며 질병을 옮기지 않는 익충입니다.
  • 외형상 암수가 붙어 다니는 모습 때문에 '사랑벌레'라는 별명으로도 불립니다.
  • 생태계 교란 생물로 분류되지 않으며, 오히려 유충은 낙엽을 분해하여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성충은 꽃의 수분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 성충의 수명은 수컷이 3~4일, 암컷이 7일 정도이며, 대량 발생 후 2주가량 지나면 자연 소멸합니다.

러브버그의 크기와 생김새

  • 성충의 몸길이는 약 6~7mm 정도입니다.
  • 머리와 가슴은 검은색, 배는 붉은색을 띠며, 등에는 작은 흰색 반점이 있습니다.
  • 다리와 더듬이는 가늘고 긴 편이며, 날개는 투명하고 약간 회색빛을 띱니다.
  • 암수가 꼬리를 마주 붙이고 다니는 것이 특징입니다.

러브버그 퇴치법

러브버그는 대량 발생 시 불편을 초래할 수 있지만, 무분별한 살충제 사용보다는 물리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창문과 출입문을 닫아 실내로의 유입을 차단합니다.
  2. 야외 활동 시에는 밝은 색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러브버그는 어두운 색에 더 잘 붙는 경향이 있습니다.
  3. 물을 뿌려주면 날개가 젖어 움직임이 둔해지므로, 분무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끈끈이 트랩을 설치하여 밀도가 높은 곳의 개체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양초나 정향, 계피 등의 향을 피우면 러브버그가 기피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러브버그 대량 발생 원인

  • 러브버그는 원래 북아메리카 남동부와 멕시코만 지역이 원산지입니다.
  • 국내에는 2020년 경 경기 고양시와 서울 서북부, 인천 일부 지역에서 첫 발견되었습니다.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습도 증가가 러브버그의 서식 환경을 개선시켰습니다.
  • 산림 내 낙엽층을 선호하는 습성 때문에 도심 근교의 산에서 개체 수가 늘어났고, 불빛을 따라 도심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2023년에는 5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해 전년 대비 10일 이상 빨라졌으며, 출현 범위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러브버그는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되는 해충은 아니지만, 갑작스러운 출현에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도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체 수 조절이 필요한 경우라도 무차별적인 살충보다는 친환경적인 방법을 우선하는 것이 좋겠죠. 러브버그와 함께 어우러지는 지혜로운 여름 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서울시 안내지침

 

러브버그(사랑벌레)슬기롭게 대처하기

러브버그(사랑벌레) 슬기롭게 대처하기

news.seoul.go.kr

관련뉴스

 

 

2024년 장마 기간은 언제부터? 올해 장마철 대비 가이드

2024년 여름을 앞두고 장마 예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여행 계획을 세우는 분들은 장마 시기를 피해 일정을 잡는 것이 중요한데요.  올해 장마는 어떤 모습을 보일지, 그리고 현명하

gumption050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