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 정보

온라인 출생신고부터 출생증명서 발급 및 열람(태어난 시간 알아보는 방법)

by 괴짜가족 2024. 12. 21.

온라인으로 출생신고하는 방법과 출생증명서 발급 및 열람 절차, 아기의 정확한 태어난 시간 확인하는 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 출산 후 꼭 챙겨야 할 출생 관련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하세요.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출생신고 하는 방법

2018년 5월 8일부터 온라인 출생신고가 전면 시행되었습니다. 온라인으로 출생신고를 하려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

  • 온라인 출생신고 참여 병원에서 아기를 출산해야 합니다.
  • 병원에서 출생증명정보 제공에 산모가 동의해야 합니다.

필요한 것은 공인인증서와 병원에서 발급한 출생증명서예요. 절차는 이렇습니다.

  1.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efamily.scourt.go.kr)에 접속합니다.
  2. 출생신고서를 작성하고 출생증명서를 첨부합니다.

온라인 출생신고는 24시간 365일 가능하지만, 부모의 등록기준지에서만 신고할 수 있어요. 출생 후 1개월 이내에 꼭 신고해야 합니다.

출생증명서, 어떻게 발급받고 열람할까?

출생신고가 끝났다고 해서 출생증명서가 자동으로 발급되는 건 아닙니다. 출생증명서는 아이를 출산한 병원에 직접 방문해서 발급받아야 해요. 인터넷으로는 발급이 불가능하죠. 출생증명서는 앞으로도 필요한 경우가 많을 텐데요. 재발급 역시 병원에 직접 가서 받아야 합니다. 한 번에 여러 장 발급받는 것도 가능하니 미리 여유 있게 받아두시는 게 좋겠죠? 한편 출생신고서 열람은 아기가 태어난 지역의 관할 법원에 방문해서만 할 수 있어요. 열람 가능한 나이는 만 30세까지로 제한되고 있습니다.

  1.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서 기본증명서를 무료로 발급받습니다.
  2. 기본증명서에 적힌 등록기준지 관할 법원을 확인합니다.
  3. 해당 법원 민원실에 방문하여 열람신청서를 작성합니다.
  4. 출생신고서 사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기 정확한 출생시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아기의 정확한 탄생 시각이 궁금하시죠?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출생증명서 발급받기

병원에서 발급하는 출생증명서에는 출생 시간이 기재되어 있어요. 병원에 연락하여 발급을 요청하면 되겠죠.

 

2. 출생신고서 열람하기

관할 법원에서 열람 가능한 출생신고서에도 출생 시간이 적혀 있습니다. 출생신고서는 아기가 만 30세가 될 때까지만 보관되니 열람 시 참고하세요. 법원에 방문할 때는 기본증명서(상세)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해요.

 

지금까지 온라인 출생신고, 출생증명서 발급과 열람, 그리고 아기의 탄생 시각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출산 후 바쁘고 정신없는 와중에도 이 정보들을 꼭 기억해 두시고, 우리 아기의 소중한 탄생 기록을 빠짐없이 남기시기 바랍니다.

 

교차형 무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