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부동산 시장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정부의 잇따른 제도 개선으로 내 집 마련과 투자의 기회가 더욱 풍성해질 전망인데요. 대출, 세금, 공급 확대, 주거품질 개선 등 핵심만 쏙쏙 짚어드리겠습니다.
1. 더 쉬워지는 대출, 2025년 금융정책 변화
1) 자유로운 대출 상환
-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 주택담보대출: 0.6~0.7% → 0.3~0.35%
- 신용대출: 0.4% → 0.2%
- 시행일: 2025년 1월 1일부터 접수되는 대출부터 적용
2) 신혼부부와 예비부모를 위한 특별 혜택
- 부부합산 연소득 기준: 1.3억 원 → 2.5억 원으로 대폭 상승
- 연령 제한: 25~27세
- 우대금리: 최대 0.4%까지 가능
- 적용 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가구
3) DSR 3단계 완성
- 모든 금융권 대출에 적용
- 스트레스 금리 1.5% p 적용 예정
- 시행일: 2025년 7월
2025년 새로운 부동산 정책 - 금융, 세제, 공급 정책 총정리
안녕하세요. 2025년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부동산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부는 주택시장 안정화와 실수요자 지원을 위해 금융, 세제, 공급 등 다방면에서 정책을 쏟아내고 있는데
gumption0825.tistory.com
2. 세금 부담 완화와 임대인 지원 강화
1) 다주택자 양도세 부담 완화
-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배제 2025년 5월 9일까지 연장
- 실거래 시점 기준으로 적용
2) 임대인 제도 연장
상생 임대인 제도:
- 적용기한: 2026년 12월 31일까지
- 혜택: 1세대 1 주택 미과세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시 실거주 2년 요건 면제
착한 임대인 제도:
- 소상공인 임대료 인하 시 건물주에게 인하액의 최대 70% 세액공제
- 적용기한: 2025년 12월 31일까지
3.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
1) 민간 도심공공복합사업 활성화
- 용적률 상한 140%까지 완화 가능
- 용적률 상한에 따른 개발이익 일부는 반드시 공공주택으로 공급
- 시행일: 2025년 2월
2) 재건축 절차 간소화
- 준공 30년 이상 아파트: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가능
- 재건축 기간: 최대 3년 단축 예정
- 시행일: 2025년 6월
4. 주거품질 개선과 관리 강화
1)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강화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제로 통합
- 제출서류 간소화: 처리기간 약 20일로 단축
- 1차 에너지 사용량 제한: 연간 1㎡당 100 kWh 이내
- 신축 공동주택 에너지 성능: 제로에너지 5등급 수준으로 강화
2) 주거환경 품질 강화
- 벽체 두께: 4cm → 25cm로 확대
- 층간소음 기준: 49dB → 37dB 이하로 강화
3) 임대사업자 관리 강화
- 악성임대인 등록말소 요건:
- 임대의무기간: 6년
- 2회 이상 대위변제 후 6개월 경과 시 말소
- 아파트공시가격산정 시 지역계수 적용 의무화
2025년 새로운 부동산 정책 - 금융, 세제, 공급 정책 총정리
안녕하세요. 2025년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부동산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부는 주택시장 안정화와 실수요자 지원을 위해 금융, 세제, 공급 등 다방면에서 정책을 쏟아내고 있는데
gumption0825.tistory.com
실수요자를 위한 맞춤 조언
2025년 새 부동산 제도의 핵심은 실수요자 지원과 주거품질 향상에 있습니다. 구체적인 혜택과 시행 시기가 정해진 만큼, 나에게 맞는 제도를 꼼꼼히 체크하고 필요한 준비를 해두는 것이 현명합니다.
또한 각 제도별 시행일이 다르니 달력에 체크해 두고, 필요 서류와 자격 요건 등을 사전에 확인해 두시기 바랍니다.
제도 변화에는 기회와 위험이 공존합니다. 본인의 재정상황과 목적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을 양자컴퓨터 공부, 관련주 찾기 전에 이것부터 (0) | 2025.01.14 |
---|---|
카카오의 챗봇 카나나, 부진한 주가를 이끌 수 있을까? (0) | 2025.01.13 |
보험 계리사의 모든 것, 2025년 1,2차 시험 일정과 난이도, 인강 추천 및 연봉까지 (0) | 2024.12.23 |
2025년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뜻과 차이 쉽게 정리해 봄 (0) | 2024.12.19 |
맞벌이 부부를 위한 2024년 연말정산으로 13월의 월급 챙기는 방법 (0) | 2024.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