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라면 놓칠 수 없는 2024년 연말정산 꿀팁! 새로운 세법 혜택부터 부부 맞춤 공제 전략까지, 13월의 보너스를 제대로 받아가는 노하우를 지금 확인하세요.
맞벌이 부부가 주목해야 할 2024년 연말정산 절세 전략
연말정산의 계절이 다가오면 모든 직장인의 관심사는 단 하나, 바로 '13월의 보너스'를 어떻게 더 받아갈 것인가입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라면 공제 혜택을 어떻게 나누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세금 환급액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더욱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데요. 2024년 달라지는 세법과 맞벌이 가구에 특화된 연말정산 팁을 총정리했습니다. 이제 부부가 함께 현명하게 13월의 보너스를 극대화하세요!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핵심은 공제 항목 배분
연말정산의 기본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매달 월급에서 미리 떼어간 세금을 연말에 한 번에 정산한 뒤, 실제 납부할 세금보다 많이 냈다면 그 차액을 돌려받는 거죠. 이때 맞벌이 부부는 서로의 소득과 지출 특성에 맞게 공제 항목을 전략적으로 나누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혼인신고 50만원 받으세요 연말정산, 초혼·재혼 상관없이 '혜택' 적용
사진=나남뉴스 올해 연말정산부터 혼인신고 분에 대해 50만원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13월의 월급이라는 연말정산 시즌을 맞아 국세청에서는 2024년부터 2026년 사이 결혼한
im.newspic.kr
월급이 더 높은 배우자는 세액공제 효과가 큰 항목을, 소득이 낮은 쪽은 소득공제에 적합한 항목을 주로 맡는 식이죠. 단, 동일 항목을 부부가 중복 공제하면 안 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2024년 세법 개정 내용, 꼭 알아두기
1. 자녀 세액공제 혜택 확대
- 첫째는 30만 원, 둘째는 50만 원, 셋째부터는 자녀당 70만 원씩 공제.
2. 20대 청년 근로소득세액공제 신설
- 만 24세 이하 근로자는 200만 원까지 소득세 50% 공제 적용.
3. 4대 보험료 소득공제율 인상
- 기존 12%에서 연 300만 원 한도로 15%로 상향됨.
4. 9년 이상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세제 지원
- 장기임대주택 등록 시 취득세 감면율 최대 80%까지 확대, 재산세는 0.05%~0.35% 세율 적용.
특히 MZ세대 직장인이나 어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이라면 달라지는 세제 혜택을 꼼꼼히 챙겨 절세 효과를 톡톡히 누려야겠죠?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맞벌이 부부 절세 노하우
사례 1. 영유아 자녀 둔 30대 부부의 의료비 공제
- A 씨(연봉 6천)와 B 씨(연봉 4천) 부부는 1세 아이 C가 감기로 병원에 자주 다녀 연간 300만 원 의료비 발생.
- 유치원에 다니는 5살 아이 D는 영유아 검진과 예방접종을 받아 그 비용 50만 원.
- 맞벌이 부부는 이렇게 공제 배분: A 씨 명의로 C의 의료비 100만 원과 D 의료비 전액 신청, B 씨가 나머지 C 의료비 공제.
- 그 결과 총 81만 원의 추가 세액공제를 받았고, 특히 고소득자인 A씨가 주로 공제받아 절세 효과 극대화.
사례 2. 고소득 배우자의 IRP 활용
- 연봉 8천만 원인 남편 E씨와 연봉 3천만 원인 아내 F 씨는 각각 연금저축에 400만 원씩 납입했지만, IRP가 없었음.
- E 씨가 추가로 IRP에 700만 원을 납입하기로 하고 F 씨는 IRP 대신 주택청약종합저축 불입액 공제를 받기로 결정.
- 이렇게 해서 부부는 연금계좌 세액공제로 E씨가 154만 원(13.2% 공제율 적용), F 씨가 72만 원(12% 공제율 적용)을 돌려받을 수 있었음.
위의 사례처럼 자녀 의료비는 고소득자 위주로, 저축은 부부의 소득 수준별로 배분하는 등의 전략을 세우면 절세 효과를 한층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부부간 소통을 통해 가장 유리한 공제 방안을 찾아내는 거죠.
연말정산의 주인공은 바로 당신!
이제 막막하기만 했던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도 두렵지 않습니다. 앞서 살펴본 핵심 포인트와 세법 변화를 곁들인다면 당신의 13월 보너스가 더욱 풍성해질 거예요. 연말정산의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입니다. 현명한 절세 전략으로 알찬 세금 환급, 받고 가세요!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계리사의 모든 것, 2025년 1,2차 시험 일정과 난이도, 인강 추천 및 연봉까지 (0) | 2024.12.23 |
---|---|
2025년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뜻과 차이 쉽게 정리해 봄 (0) | 2024.12.19 |
2025년 주목해야 할 유망 산업 분석 (0) | 2024.12.18 |
리플(XRP) 급등 원인과 2024년 연말, 2025년 전망 분석 (0) | 2024.12.03 |
알트코인 강세 시즌 도래, 연말 및 2025년 전망 분석 (0) | 2024.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