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임용시험 준비38 중등 임용 체육, 운동 생리학 (호흡계와 운동) 호흡계통 폐 조직의 역할 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가스 교환을 통해 운동 중에 발생하는 산, 염기의 균형을 조절한다. 호흡작용의 기능 신체는 호흡을 통해 조직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체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며 체내 pH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뿐만 아니라 호흡을 통해 체온을 유지하고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호흡계통의 구성 호흡계는 코, 인두, 기관, 폐 등으로 구분된다. 폐는 좌엽 두 개, 우엽 세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허파꽈리는 기관지 끝부분에 달려있는 주머니로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는 기본적 단위라고 할 수 있다. 허파꽈리의 환기는 1회 호흡량, 호흡수, 사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외호흡과 내호흡 외호흡 외호흡은 허파꽈리 조직과 혈액 사이의 가스 교환을 의미한다. 산소와 이산화탄소는 혈액에 의해.. 2023. 2. 7. 중등 임용 체육, 운동 생리학(에너지 대사) 인체의 에너지원 탄수화물 간과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겐 저장량은 한정적이다. 운동강도가 높을수록 탄수화물에 의한 에너지 공급 의존도는 증가한다. 지방 중성 지방이 분해되며 에너지원으로 공급되는 과정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강도 높은 운동 상황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가 어렵다. 높은 강도의 운동이 지속되면 글리코겐 저장량이 감소하게 되면 에너지원으로 지방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아져 높은 강도의 운동을 지속하기 어려워진다. 단백질 단백질은 소장의 효소가 복합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한 뒤 간으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과도하게 섭취한 단백질은 탄수화물과 지방으로 전화되어 체내 저장된다. ATP ATP는 근수축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으로 골격근과 심장근 등에 저장되어.. 2023. 2. 3. 중등 임용 체육, 운동생리학(운동의 생리적 효과, 근육계와 운동) 운동의 생리적 효과 운동이 심폐계통에 미치는 효과 심장용적의 변화 운동동은 심장 용적에 영향일 준다. 지구성 운동은 좌심실 용적을 증대시켜 이완기 말 심실로 유입되는 혈액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순발성 운동은 심실벽의 두께를 증대시키는데 이는 심장의 근수축력 증대로 이어져 심장의 1회 박출량을 증가시킨다. 심박수의 감소와 1회 박출량의 증가 규칙적인 운동은 부교감 신경계 자극을 활성화하여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이는 심박수 감소로 이어져 같은 과제를 수행하더라도 심장의 부담을 감소한다. 심장 1회 박출량의 증가로 인해 최대 운동 시, 산소요구량이 많아졌을 때 더 많은 양의 산소를 근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최대산소섭취량(VO2 max)의 증가 최대산소섭취량이란 산소운반 능력이 생리학적 최.. 2023. 1. 30. 중등 임용 체육, 스포츠 심리학(강화, 사회적 촉진, 심리기술 훈련) 강화 강화란 특정 행동이나 반응을 이끌어 내는 확률 또는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 강화방법으로는 효과적인 강화물을 선택해야 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찾아 강화를 해야 한다. 그리고 강화의 빈도를 점차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이 좋으며 강화 행동이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강화물의 유형으로는 얼굴 표정이나 신체접촉, 칭찬과 같은 사회형 강화물이 있고 그 밖에 활동형, 물질형, 특별행사형 강화물이 있다. 연속 강화란 모든 반응마다 강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지속성이 거의 없다. 고정간격 강화란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른 반응에만 강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변동간격 강화란 일정한 시간 간격이 아니라 평균 시간을 중심으로 변동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고정비율 강화란 시간과 상관없이 횟수를 .. 2023. 1. 27.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