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정보

'KC 미인증' 제품 해외직구 금지 조치, 주요 내용 및 대상 품목은?

by 름푸파파 2024. 5. 18.

최근 정부는 'KC 미인증' 제품의 해외 직접 구매(해외직구)를 차단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이며, 주요 대상 품목은 어린이 제품과 생활용품, 전기용품 등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KC 미인증' 제품 해외직구 금지 조치의 내용과 대상 품목, 그리고 이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살펴보겠습니다.

'KC 미인증' 제품 해외직구 금지 조치, 주요 내용 및 대상 품목은?

'KC 미인증' 제품 해외직구 금지 조치

정부는 2024년 5월 16일, 인천공항 세관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통해 '해외직구 급증에 따른 소비자 안전 강화 및 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주로 어린이 제품과 생활용품, 전기용품 등을 포함한 총 80개 품목을 대상으로 합니다. 정부는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대해 해외직구를 차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의 반입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주요 내용 및 대상 품목

1. 안전인증 필요

대상 품목 피해 사례
어린이 제품: 어린이용 유모차, 카시트 등 34개 품목 물놀이튜브, 장난감, 연필 등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 기준치 초과
전기·생활용품: 전기온수매트, 전기요조 등 34개 품목 캠핑용 배터리 화재 발생, 건전지 카드뭉 함량 기준치 11배 초과
생활화학 제품: 가습기용 소독·보존제, 살균제 등 12개 품목 살충제 등에서 폼알데히드 등 발암물질 검출

 

2. 위해성 확인 제품 반입 차단

대상 품목 피해 사례
화장품: 사용 불가 원료(1050개) 포함 화장품 기초화장용 제품에 사용 불가한 스테로이드류 등 검출
위생용품: 일회용 수저, 기저귀, 물수건 등 폼알데히드(발암물질) 등 안전기준 초과 우려
기타: 석면·납·카드뭉 등 함유 제품 귀걸이, 반지 등에서 카드뭉 기준치 초과

3. 기존 금지 품목 관리 강화

대상 품목 내용
의약품·동물용의약품 해외직구가 원칙적으로 금지되지만 일부 제품이 국내 반입되어 안전성 우려 초래
의료기기 무허가 의료기기는 해외직구를 통한 수입이 전면 금지되나 불법 직구 사례 증가

 

이번 'KC 미인증' 제품의 해외직구 금지 조치는 소비자 안전을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그러나 정부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존중하면서, 더욱 정교한 규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해성이 명확히 입증된 제품에 대한 규제는 필요하지만, 모든 제품을 일괄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제조업체와의 형평성을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실효성 있는 규제와 함께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방안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